[이종환칼럼] 재외동포청의 소극적 홍보, 너무 아쉽다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 게시판

[이종환칼럼] 재외동포청의 소극적 홍보, 너무 아쉽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2-07 10:43

본문

외교부 등은 ‘명칭후원’하는데 동포청은 안해
비용 안들이고도 적극 홍보하는 기회 놓쳐서야

재외동포청(청장 이상덕)이 실제로 비용지원을 하지 않는 행사에는 후원기관 이름도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는 방침을 세운 듯하다. 이 같은 내용을 최근 재외동포청 대변인실로부터 전해들었다.

일반적으로 단체들이 행사를 할 때 후원기관이나 단체를 명기한다. 포스터나 배너, 현수막을 만들 때도 후원기관 이름이나 로고를 넣는다.

후원기관을 밝히는 것은 행사의 품격을 위해서일 수도 있고, 행사를 물심으로 도와준 데 대한감사의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세계한인무역협회는 지난해 가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행사를 하면서 후원단체로 ‘각시도지방자치단체, 한국경제인협회, KB금융그룹, 농협경제지주,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을 명기했다. 이때 개설된 행사 부스 수는 420개로 한국 각 지자체에서 많은 중소기업들이 참여했다.

월드옥타가 당시 후원단체에 ‘각 시도지방자치단체’ ‘한국경제인협회’ 등을 넣은 것은 반드시 비용지원을 받았기 때문은 아닐 것이다. 전국 17개 광역시도가 한꺼번에 비용을 지원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필자가 경영하는 월드코리안신문 역시 많은 행사를 한다. 올해 1월에 개최한 신년회의 현수막에는 세계한인회총연합회와 세계한인무역협회를 후원으로 넣었다. 지난해 2월에 개최한 ‘월드코리안 국회 포럼 및 시상식’ 행사에는 재외동포청과 재외한인학회, 세계한인회총연합회, 미주한인회총연합회,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 등을 넣었다. 이처럼 후원단체를 밝힌 것은 행사의 품격과 후원에 대한 감사의 표시였다.

실적적 비용 지원 등을 받지 않으면서도 후원단체에 이름을 올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행사의 품격을 위한 것으로, 후원기관 입장에서도 그리 나쁜 선택은 아니다. 기관을 홍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외교부 등 정부 부처들이 비용지원 없이도 후원기관을 쓰도록 한다. 행사 품격을 올려주면서 주관기관을 격려하자는 의미도 담았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재외동포청의 방침은 너무 소극적으로 보인다. 재외동포청은 재작년 6월에 출범했다. 현판을 단 지가 올해 6월로 불과 만 2년이다. 재외동포청이 무엇을 하는 기관인지, 어떤 일에 관심을 쏟는지 널리 알려야 할 상황이다. 재외동포청 후원이라는 글귀가 곳곳에서 보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시점이다.

하지만 재외동포청은 그런 간단한 일에도 손을 놓고 있다. 돈을 얼마나 많이 지원하는지는 모르지만, 재외동포청 예산으로 볼 때 지원할 행사 수는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재외동포청 후원이라는 글귀도 극히 제한적으로 눈에 띌 수밖에 없다. 서둘러 이 같은 소극적 방침을 재고할 때다. 다른 정부 부처와 기관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본받을 때라는 것이다.

이종환 월드코리안신문 대표이종환 월드코리안신문 대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