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K-푸드의 세계적인 비상을 꿈꾼다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 게시판

[특별기고] K-푸드의 세계적인 비상을 꿈꾼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5-26 12:24

본문

[특별기고] K-푸드의 세계적인 비상을 꿈꾼다


대통령 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
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SNS 기사보내기
카카오톡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인쇄
 본문 글씨 줄이기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

최근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뜨겁다. 드라마, 영화, 음악 등 K-콘텐츠의 폭발적인 인기에 힘입어 한국 음식, 즉 한식에 대한 국제적인 인지도와 선호도 역시 눈에 띄게 높아지고 있다. 런던에서는 한식이 10대 인기 요리 중 3위에 오르는 등 현지인 사이에서 한식의 위상이 크게 높아졌다. 파리에서는 한식당이 최근 2~3년 사이에 100여 개에서 300여 개로 증가했다고 한다. 전 세계에서 K-푸드 열풍이 불고 있다. 수출도 급격히 늘고 있다. 김치, 비빔밥, 불고기와 같은 전통적인 한식은 물론, 떡볶이, 치킨 등 현대적인 길거리 음식까지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K-푸드’라는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음식 문화의 유행을 넘어,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한식의 매력은 무엇일까? 먼저 약식동원(藥食同源)의 철학을 중심으로 한 건강한 식품 문화, 그리고 오랜 시간과 정성을 들여 만든 장류와 김치 등의 발효 음식은 건강을 중시하는 현대인의 식단에 부합한다. 또한, 일반 식재료는 물론 다양한 채소와 나물을 활용한 균형 잡힌 식단은 풍부한 영양을 자랑한다. 끓이고 찌고 굽는 다양한 조리법, 그리고 계절과 지역에 따라 발전한 계절 향토음식의 전통은 다채로운 맛과 독특한 풍미를 자랑한다. 특히 맵고 짜고 달콤한 맛의 장류는 잘 발전시키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미래의 K-소스가 될 것이다.

그러나 한식의 세계화는 이제 도입기에 불과하다. 요리의 경쟁력은 C학점 정도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한식 세계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어떻게 하면, 이탈리아, 프랑스, 중국, 일본 등 선진국 음식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까. 첫째, 현지인의 입맛을 고려한 표준화된 레시피와 품질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지나치게 전통적인 것은 세계인의 입맛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다. 둘째, 한식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셋째, 한식당 창업과 해외 외식 프랜차이즈와의 협력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도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한식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국제적 홍보 노력이 필요하다.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한식 관련 교육 프로그램 및 문화 체험 기회를 확대하여 외국인들이 한식을 직접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한식의 고유한 가치를 보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전통 조리법과 식재료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고, 이를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재해석하는 창의적인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지속 가능한 식재료 공급망 구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해외에서도 안정적으로 한국산 식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현지에서 생산 가능한 식재료를 활용한 메뉴 개발도 지원해야 한다.

한식세계화는 민간 차원의 자발적인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외 한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식 알리기 활동을 지원하고, 한식 셰프들의 국제적인 교류와 협력을 장려해야 한다. 또한, 식품 기업들의 적극적인 해외 시장 진출과 혁신적인 제품 개발 노력을 유도해야 한다.

한식은 단순한 음식을 넘어 한국의 문화와 정신을 담고 있는 소중한 자산이다. K-콘텐츠의 성공적인 확산에 발맞춰, 체계적인 정책 지원과 민간의 노력을 통해 한식 세계화를 이루어낸다면, 한국은 문화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우리도 네덜란드처럼 농식품산업을 1000억달러 이상 수출하는 첨단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하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