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첩] 민주평통 공백기 해외협의회 사무실 유지비는 누가 부담?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 게시판

[수첩] 민주평통 공백기 해외협의회 사무실 유지비는 누가 부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6회 작성일 25-09-15 09:39

본문

21기 민주평통 임기, 8월 말로 끝나… 11월 1일 22기 출범까지는 공백기
박근혜 대통령 탄핵 때도 같은 상황 벌어져
이종환 월드코리안신문 대표이종환 월드코리안신문 대표

(서울=월드코리안신문) 이종환 기자   

“21기 민주평통 해외협의회 임기가 8월 말로 임기가 끝나는데, 행정실 유지비와 직원 급여는 누가 책임져야 할까?”

민주평통 해외협의회에 두 달간의 공백이 생기면서 이런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 8월 하순 LA를 방문했을 때 이런 고민을 직접 듣기도 했다.

월드코리안신문은 지난 8월 22일 LA에서 ‘해외한인사회 차세대 육성’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월드코리안신문과 민주평통 LA협의회(회장 이용태), 미주한인회 서남부연합회(회장 조규자)가 공동주최한 행사였다. 이 행사에는 주최 측은 물론, 데이브 민 연방하원의원, 김영완 LA총영사 등 내빈들도 참여해 150여 명이 성황리에 1, 2부로 된 심포지엄과 통일포럼을 개최했다.

민주평통 LA협의회는 자문위원 수가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협의회다. 한때는 200명에 육박했다가 지금은 160명 가까운 수를 유지하고 있다. 교민 인구비례로 보면 더 많은 수가 위촉될 수 있지만, 다른 지역의 위원 수를 늘려주면서 일부 줄어들었다.

많은 수의 자문위원들이 있다 보니 협의회가 하는 일도 많고, 행정업무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LA협의회는 오랫동안 사무실을 독자적으로 임대해 유지해오면서, 행정업무를 담당할 행정실장도 고용해 급여를 지급해왔다.

그런데 이재명 정부의 출범과 함께 22기 민주평통 자문위원 위촉이 늦어지면서 변수가 생겼다. 2023년 9월 1일 출범한 21기 민주평통은 관례대로라면 9월 1일 출범해야 했다. 하지만, 해외 간부 선정과 자문위원 위촉을 새로이 해야 해서 출범을 11월 1일로 미뤘다.

해외간부 선정 및 자문위원 위촉 업무를 주재할 민주평통 사무처장도 지난 8월 13일에야 임명됐다. 지난 6월 4일 취임한 이재명 대통령이 정부 조각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공세 및 미국 방문 등으로 인해 민주평통 사무처장 임명이 늦었기 때문이다.

민주평통 사무처에 따르면 제21기 민주평통 자문위원의 임기는 8월 31일로 끝났다. 새로이 출범하는 22기 민주평통 자문위원의 임기는 11월 1일부터 시작된다. 자문위원의 임기는 2년이다.

지금 민주평통 사무처는 22기 출범을 맞아 자문위원 위촉과 해외협의회장 등 간부 선정 문제로 정신없을 것이다. 21기 민주평통은 해외에 5개 지역회의와 43개 협의회를 가동했다. 일본에 4개, 유럽중동아프리카에 5개, 아시아대양주에 6개, 중국에 5개, 미주에 20개 협의회를 두었다. 그리고 운영위원과 상임위원, 지회들의 지회장도 있어서 해외 간부 수는 150명에 이른다.

이들 간부를 선정하는데도 시간이 적잖이 소요된다. 잘못하면 협의회 운영에도 문제가 생기지만, 각종 투서와 진정 등이 난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평통이 해외 간부를 각 지역에서 선출방식으로 뽑으면 좋지만, 민주평통은 임명직으로 유지해왔다. 대통령이 임명장을 주는 자리여서 어쨌든 선정해 임명할 수밖에 없다. 그런 데다 해외에서 간부가 되려고 하는 사람들도 많다 보니 인선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해외자문위원 4천 명도 심사를 거쳐서 위촉해야 한다. 사무처로서는 바쁘면서도 고민스러운 시간이다.

해외협의회는 또 다른 고민이 있다. 22기가 출범하기까지의 공백기인 9월과 10월의 사무실 운영경비를 누가 책임져야 하는지도 그중의 하나다. 임기 끝난 21기가 맡는 것도 이상하고, 임기가 시작되지 않은 22기가 부담하는 것도 이상하다.

이런 일은 지난 2017년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당하고 문재인 정부가 출범할 때도 일어났다. 당시 탄핵과 조기 대선으로 18기 민주평통은 두 달 늦게 출범했다. 17기 임기는 2017년 6월 말로 끝났고 18기는 7월 1일 출범이었으나, 18기 민주평통은 그해 9월 1일 출범했다. 그때도 두 달간의 공백이 있었다. 해외에 사무실을 운영하는 협의회는 그때도 똑같은 문제에 부닥쳤다.

두 달 공백기의 운영비를 누가 부담할 것인가? 민주평통 사무처도 함께 고민할 일인듯하다.

이종환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