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한인회장대회 민간 주관, '풀어야 할 숙제'부터 먼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2회 작성일 25-10-20 11:11본문
세계한인회장대회 민간 주관, '풀어야 할 숙제'부터 먼저
한인회장 참가자 내년 민간 주관 결의안 채택
대표성 두고 지역별 한인회 반발 문제점 노출
시간 두고 재외동포사회 여론 반영 숙고 요구
- 표영태 기자
- 입력 2025.10.16 17:30
- 수정 2025.10.16 23:07
- 댓글 0
‘2025 세계한인회장대회’ 개회식에 참석한 전세계 67개국 한인회장 등이 지역별로 자리를 함께 한 모습. 한인사회에서 내년 세계한인회장대회 주관 단체를 누가 할 것인가를 놓고 참석자들이 사이에서 내홍이 발생하는 등 벌써부터 분열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1일 전세계 67개국의 한인회장과 대륙별 총연합회 임원 등 370여 명이 참여한 ‘2025 세계한인회장대회’ 폐회식에 앞서 참가자들은 전체회의를 통해 채택된 10개항의 결의문을 발표했다.
앞서 한인회장들은 9월 29일부터 공통의제 토론에서 재외동포청 대신 한인회 주관으로 개최하는 방안을 안건으로 올렸다. 이 과정에서 세계한인회장단의 대표 단체를 표방하는 사단법인 세계한인총연합회(이하 세한총연)가 주관한다는 의견이 나왔지만 일부 한인회장단이 반대의견을 제기, 퇴장을 하는 등 파행을 겪었다. 일본, 중국, 러시아CIS 지역, 그리고 일부 북미 지역 한인회 등이 세한총연을 한인회장 대표 단체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2021년 설립 당시 세한총연은 대의원 제도로 운영하는 방안 등을 담은 정관 초안을 만들었다. 당시 재외동포재단(재외동포청 전신) 김성곤 이사장의 지원 아래 세한총연이 서둘러 출범했지만, 세계 주요 한인 거주 도시에서 제대로 세한총연과 동포사회 간에 소통과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세한총연 출범을 알지도 못했거나, 대표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참여하지 않는 한인회 등이 적지 않았다.
이번 결의문 채택에서도 세한총연을 인정하지 않는 지역의 한인회장들이 내년에 세한총연 주도로 한인회장대회를 추진하는 것에 반발했고, 결국 세한총연이 빠지고 그냥 한인회 스스로 대회를 개최하자는 중재안을 내기도 했다.
세한총연 관계자도 아직 내년 대회를 세한총연이 주관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를 시작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세한총연이 10개 지역별 총연합회로 구성되어 있어, 세한총연에 참여하지 않은 한인회 등의 문제는 각 지역 총연합회가 해소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석로 캐나다한인총연합회 회장도 행사 후 본 기자와 가진 인터뷰에서, "일본, 중국, 러시아CIS 한인사회를 끌어안을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다"며 해당 지역 한인회와 함께 세한총연이 주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재외동포청은 내년에 한인회 주관으로 개최한다는 결의안을 받은 상태로 아직 구체적인 입장을 밝힐 수 있는 단계는 아니라고 했다. 다만, 김경협 재외동포청장이 한인회장대회를 비롯해 재외동포청이 주관하는 각종 이벤트를 정부기관인 재외동포청보다 민간 단체에 이관해야 한다는 기본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토의를 하자마자 대표성을 두고 분란이 일어나는데, 내년까지 이런 혼란이 봉합돼 민간 주도로 한인회장대회를 열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또 정부가 특정 재외동포 단체의 대표성을 인정할 때마다, 재외동포사회에서 이것이 작은 권력으로 인식돼 이를 서로 차지하려고 단체나 개인간에 분규가 발생했다.
이런 권력 싸움의 배경에는 정부나 공관이 인정한 한인사회의 대표기관이나 단체장이라는 명예와 정부의 재정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헌법기관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해외 위원이 되는거나 해외 협의회장이 되는 것을 두고 2년마다 해외 한인사회가 한바탕 난리를 치며 갈등을 빚기도 한다. 이외에도 공관이 인정하는 경제단체, 향군단체, 교육단체들도 회장 선거 때마다 시비가 일어난다. 각 지역 한인회나 노인회, 여성회 등 한인단체나 개인의 불화가 악화되면서 법정싸움까지 이어지기도 했다.
미주한인회총연합회도 2015년부터 총회장 선거를 두고 내분이 발생해 7년간 분규단체로 지정이 되기도 했다. 미주한인회총연합회 뿐만 아니라 캐나다 등 다른 지역에서도 오랫 동안 협의회가 주요 도시 한인회로부터 대표성을 인정 받지 못하는 등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런 모든 것을 고려했을 때 한인회장대회에 누가 또는 어떤 조직이 대표성을 갖고 주관할 지에 대해 충분한 여유를 갖고 재외동포사회의 여론을 청취하고, 또 다른 분란과 분규의 불씨가 되지 않도록 이해관계자들이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숙고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