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정부 시위 격화’ 인니, 화교들 속속 탈출...‘98년 유혈폭동 트라우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9-03 11:17본문
‘반정부 시위 격화’ 인니, 화교들 속속 탈출...‘98년 유혈폭동 트라우마’
"현지 한인사회, 피해 없어"...모든 행사 취소한채 조심하는 상황
김종헌 재인니한인회장, "시위 관련 상황, 교민들에게 신속하게 안내"
- 황복희 기자
- 입력 2025.09.02 12:52
- 수정 2025.09.02 14:38
- 댓글 0
![지난 9월1일(현지시간) 오후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중심부 스나얀에 있는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서 민족학생운동(GMNI) 소속 학생들이 집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cdn.dongponews.net/news/photo/202509/53831_206642_550.jpg)
![자카르타 중심부 스나얀에 있는 국회의사당 앞 버스정류장이 며칠 전 시위대 방화로 불에 타 흉물로 방치돼 있다. [연합뉴스]](https://cdn.dongponews.net/news/photo/202509/53831_206643_5621.jpg)

인도네시아 내 반정부 시위가 전국으로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우리 교민사회는 피해없이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종헌 재인도네시아한인회 회장은 2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시위 관련 보도가 언론을 통해 다소 과도하게 비쳐진 측면이 있다. 현지에서 체감하는 것은 크게 심각하지는 않다”면서 우리 교민사회의 경우 피해는 없으나, 강연회나 체육대회 등 모든 행사를 취소하고 조심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한인회 차원에서 시위 관련 상황을 교민들에게 신속하게 안내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오늘 대학생들이 타지역에서 자카르타로 집결해 대규모 연합 집회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취소가 됐다”면서 “DPR(하원) 건물 등 앞에서 일반집회는 예정대로 진행되고, 각 지역에서도 소규모 집회는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학교 수업은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됐다고 했다.
다만, “한인사회와 달리 화교들의 경우 싱가포르나 호주 등지로 많이들 대피를 한 상태”라고 김 회장은 전했다. 이는 지난 1998년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한 대규모 유혈 폭동사태로 인한 트라우마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1998년 당시 인도네시아에선 아시아금융위기로 인한 극심한 실업과 빈부격차 심화에 따른 사회적 불만이 수하르토 정권의 장기독재에 대한 반발과 복합적으로 작용해 시위가 촉발해 수천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었다. 당시 중국계 상점과 화교가 시위대의 표적이 되는 바람에 화교촌은 그야말로 초토화가 됐다. 그때 유혈 폭동은 34년간 지속된 수하르토 정권의 몰락과 인도네시아 민주화의 전환점이 됐다.
그에 비해, 이번 시위가 촉발된 배경은 현 프라보워 정부가 지난해 9월부터 하원의원 580명에게 1인당 월 5000만 루피아(약 430만원)의 주택수당을 지급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비롯됐다. 현지 최저임금의 10배에 달하는 금액을 챙겨준 것이어서 세금 인상과 대량 실업, 인플레이션으로 고통받는 서민들의 분노를 샀고, 지난달 25일 자카르타에서 학생들과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시위가 일어났다.
시위는 수라바야, 욕야카르타, 반둥, 마카사르 등 전국 주요 도시로 빠르게 확산됐고 곳곳에서 경찰과 시위대 간 무력충돌이 빚어져 현재 사망자는 7명으로 늘었다.
1998년의 트라우마가 있는 만큼, 프라보워 대통령은 중국 방문 일정을 전격 취소하고 사태수습에 나서, 8월31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국회의원 주택수당을 비롯해 과도한 특혜를 폐지하거나 재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 각국 대사관은 자국민들에게 군중과 시위지역을 피할 것을 경고했다.
우리 외교부는 9월1일 오후 윤주석 영사안전국장 주재로 인도네시아 내 전국적 시위 발생과 관련해 본부·공관 합동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윤 국장은 인도네시아 내 시위 상황을 계속 예의주시하면서, 본부와 공관 간 상시 연락체계를 유지하고 재외국민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외교부는 인도네시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지속 강구해 나갈 예정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