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제조업 '트럼프 관세 충격'에 따른 무급휴직 급증 >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대만 제조업 '트럼프 관세 충격'에 따른 무급휴직 급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9-03 11:34

본문

5월 중순 400명→8월 말 3천명…"내수로 '무급휴직 쓰나미' 우려"

이미지 확대
헬로 아카이브 구매하기
대만 지룽항의 수출용 화물선
대만 지룽항의 수출용 화물선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대만 제조업체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세의 충격으로 무급휴직이 증가세를 보인다고 연합보 등 대만언론이 2일 대만 노동부 통계를 인용해 보도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이달 1일 기준 제조업 전체 무급휴직자는 191개사, 4천479명으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미국 상호관세의 충격에 따른 무급휴직 사례는 118개사, 3천55명이다.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전쟁에 직접 영향을 받은 무급휴직자는 지난 5월 16일 400명이 발생한 데 이서 6월 1일 827명으로 급증했고, 6월 16일 집계에서는 1천189명을 기록해 1천명을 넘겼다.

이후 7월 16일과 8월 1일 조사에서는 각각 1천236명, 1천417명을 기록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8월 초 대만에 상호관세 20%가 부과된 여파로 8월 18일 조사에선 2천388명으로 급증했으며 9월 1일에는 3천55명까지 치솟았다.

한 소식통은 최근 무급휴직 실시를 발표한 기업 중에는 드릴을 생산해 북미에 수출하는 중견 기업도 포함됐다고 전했다.

우다런 대만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만 공구 제조업체의 주요 경쟁상대인 일본의 관세(15%)보다 대만의 관세(20%)가 높아 경쟁력을 대폭 상실했다고 설명했다.

우 교수는 또 하반기 실업률이 대폭 상승하면 내수 소비가 위축되고, 이에 따른 내수 부문에서도 무급휴직이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추다성 대만 동해대 경제학과 겸임교수는 대만의 무급휴직 증가 속도가 예상보다 매우 빠르다면서 '무급휴직 쓰나미'의 출현 여부를 앞으로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헬로 아카이브 구매하기
대만 수도 타이베이 시내
대만 수도 타이베이 시내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jinbi100@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