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도 반도체 육성 박차…폭스콘 등 대규모 투자 잇따라 유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441회 작성일 22-09-15 10:03본문
100억달러 인센티브도 제시…인프라·기술 등은 '난관'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세계 5위 경제 대국으로 성장한 인도가 반도체 산업 육성에도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 미국 주도의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칩4' 추진 등 세계 주요국이 반도체 산업 전략화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인도도 도전장을 내는 분위기다.
14일(현지시간) NDTV 등 인도 매체에 따르면 애플의 최대 협력업체인 대만 폭스콘(훙하이<鴻海>정밀공업)과 인도 에너지·철강 대기업 베단타는 전날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아메다바드에 반도체 공장 등을 건설하는 데에 1조5천400억루피(약 27조원)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
두 업체는 합작 투자사를 통해 반도체 공장과 함께 디스플레이 생산 시설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아닐 아가르왈 베단타 회장은 "2년 이내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일자리 10만개 이상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구자라트주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고향이기도 하다.
지난 7월에는 싱가포르의 IGSS벤처가 남부 타밀나두주에 반도체 공장 설립을 추진하겠다며 주정부와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투자 규모는 2천560억루피(약 4조5천억원)다.
앞서 5월에는 국제반도체컨소시엄(ISMC)이 남부 카르나타카주에 반도체공장을 짓겠다며 2천290억루피(약 4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그간 인도 반도체 시장은 취약한 자국 제조업 생태계 등으로 인해 이렇다 할 존재감을 보이지 못했다.
반도체 제조에는 대규모 투자와 첨단 기술, 충분한 물, 깨끗한 공기, 중단 없는 전력 공급 등이 복합적으로 필요한 데 인도에서는 이런 인프라 구축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인도는 뛰어난 기술자와 정보기술(IT) 역량을 갖췄음에도 반도체 제조보다는 연구개발(R&D), 디자인 등의 분야에 집중해왔다.
반도체 시장이 지난해 272억달러(약 37조9천억원)에서 2026년 640억달러(약 89조1천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자국산 반도체는 생산되지 못한 것이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지만 이같은 분위기는 2014년 모디 정부가 들어서면서 크게 바뀌었다.
모디 정부는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등 자국 제조업 활성화 정책을 펼쳤고 외국인 직접투자(FDI) 규제 완화, 시장 개방 등의 조치도 도입했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생태계 구축을 위해 100억달러(약 13조9천억원) 규모의 인센티브 지원안도 발표한 상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의 수석 연구 분석가 카니시카 차우한은 "자동차에서 TV, 노트북, 휴대전화까지 모든 전자제품이 반도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반도체 제조 유치 정책이 적시에 이뤄지고 관련 기업이 인도로 유인된다면 인도 전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반도체 제조 경험이 일천한데다 인프라마저 열악한 상황에서 인도가 뚜렷한 성과를 내기까지는 난관이 많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중국도 시진핑 국가주석 집권 이래 10∼30%에 불과한 반도체 자급률을 2025년까지 70%까지 높인다는 목표 아래 막대한 투자를 단행했지만, 부패와 비효율 문제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무계획한 투자와 도덕적 해이로 수십조원이 투입됐지만 생산 근처에도 가보지 못하고 좌초된 우한훙신반도체제조(HSMC), 기술력 확보보다는 기성 반도체 업체 사들이기에 나섰다가 결국 파산구조조정으로 주인이 바뀐 칭화유니 등이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거론된다.
코트라 뭄바이무역관은 "반도체 제조에는 막대한 자본 투자, 복잡하고 집약적인 기술, 수백 개 관련 기업 동반 진출, 수백만 리터의 깨끗한 물, 안정적인 전원 공급, 고도로 숙련된 인력 등이 필요하다"며 인도 정부가 구상 중인 재정 지원에는 추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cool@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