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부도' 스리랑카 대통령 "2026년까지 세수 두 배 늘릴 것"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69회 작성일 22-10-21 13:57본문
"채무 구조조정 외 대안 없어…IMF 지원 등 위해 필요"
![스리랑카 콜롬보의 한 시장.](https://img8.yna.co.kr/etc/inner/KR/2022/10/20/AKR20221020094100077_01_i_P4.jpg)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국가 부도' 상황을 맞은 스리랑카가 텅 빈 국고를 채우기 위해 오는 2026년까지 세수를 지금의 2배 가까이 늘린다.
20일(현지시간) 이코노미넥스트 등 스리랑카 매체에 따르면 라닐 위크레메싱게 스리랑카 대통령은 전날 TV 연설에서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8.5% 수준인 세수 규모를 2026년까지 GDP의 14.5∼15%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국가 채무 구조를 조정하는 것 외에 다른 대안은 없다"며 세제 개편이 없으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위크레메싱게 대통령은 "이런 (세수 확충) 프로그램을 중단하면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을 받을 수 없고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다른 국제기구와 나라들도 우리를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렇게 되면 우리는 다시 '줄서기의 시대'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경고했다.
스리랑카는 주력 산업인 관광 부문이 붕괴하고 대외 부채가 급증한 가운데 지나친 감세 등 재정 정책 실패까지 겹치면서 최악의 경제난에 직면했다.
외환보유고가 바닥나면서 생필품 부족난이 심각해졌고 주유소에는 기름을 구하려는 줄이 길게 이어졌다. 와중에 물가는 폭등했고 발전소 가동이 어려워지면서 곳곳에 정전도 계속됐다.
이런 가운데 스리랑카는 지난 4월 IMF 구제금융 지원 협상이 마무리될 때까지 대외 부채 상환을 유예한다며 '일시적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했다. 이어 5월 18일부터 공식적인 디폴트 상태로 접어들었다.
이후 지난달 IMF와 29억달러(약 4조1천600억원) 규모의 구제금융 지원안 실무진급 합의를 이뤘고 이제 채권국과 채무 재조정에 나서는 상황이다.
현재 스리랑카의 대외부채 규모는 510억달러(약 73조1천억원)에 달하며 이 가운데 280억달러(약 40조1천억원)는 2027년까지 갚아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채권국은 중국, 일본, 인도 등이다.
위크레메싱게 대통령은 "우리는 아울러 외환보유고 확대를 위해 필요 조치를 논의 중"이라며 "관련 조치가 실행되면 우리는 전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ool@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