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민간기업 우라늄 채굴 허용 추진"…원전 12배 확대 목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8-18 10:19본문
민간 투자 유치해 원자력 확대 구상…관련 법 개정은 숙제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자카르타=연합뉴스) 손현규 특파원 = 인도 정부가 그동안 독점해온 원자력 분야의 우라늄 채굴이나 수입을 민간 기업에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는 민간 투자를 유치해 원자력 산업을 확대하려는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구상에 따른 것이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원자력 발전 용량을 늘리기 위해 우라늄 채굴·수입·가공을 민간 기업에 허용할 예정이다.
나렌드라 모디 정부는 2047년까지 원전 용량을 지금보다 12배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외국 기업도 원자력 발전소의 일부 지분을 보유할 수 있게 요건을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부 추산에 따르면 목표 달성 시 원자력은 인도 전체 전력 수요의 5%를 차지하게 된다.
지금까지 인도는 핵 물질 악용과 방사선 유출 등을 우려해 국가가 독점적으로 우라늄 연료를 채굴하거나 수입해 가공했다.
인도 정부 관계자는 급증하는 원자력 연료 수요를 맞추기 위해 규제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로이터에 말했다.
이어 이번 조치는 올해 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안에 발표될 가능성이 크고, 민간 기업이 원전 핵심 제어 장비도 공급할 수 있게 허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사용 후 연료 재처리와 플루토늄 폐기물 관리는 국제 관행에 따라 인도 정부가 계속 맡는다.
현재 미국, 캐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민간 기업의 우라늄 채굴이나 가공을 허용하고 있다.
인도의 우라늄 매장량은 약 7만6천t으로 1만 메가와트(MW)급 원전을 30년 동안 가동할 수 있는 규모다.
이는 원전 확대 계획에 따른 수요 증가분의 25%만 충당할 수 있는 양이며 나머지는 수입에 의존해야 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전문가들은 민간 기업에 우라늄 수입이나 가공을 허용하려면 법 개정 과정이 복잡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 정부는 광업·전력 부문 규제와 외국인 직접 투자 정책을 포함해 최소 5개 법률을 개정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력 전문가인 차루다타 팔레카르는 "인도 정부의 이번 조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라면서도 "민간 부문과 관련 규정을 신속히 정해야 하는 게 과제"라고 말했다.
son@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