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윤칼럼] 한국조폭, 캄보디아 교민사회 장악하나? >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김대윤칼럼] 한국조폭, 캄보디아 교민사회 장악하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8-19 10:08

본문

1980년대, 최루탄 냄새로 가득한 거리를 지나며 우리는 학교를 다녔다. 한국 민주화의 역사는 군부 독재에 맞선 시민들의 피와 희생 위에서 이루어졌다. 오늘날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도 우리는 당시 한국과 닮은 몸부림을 엿볼 수 있다. 아마도 1980년대 한국의 소득 수준에 비추어 보면, 이 지역의 정치 상황 역시 그 시기와 유사한 궤적을 밟고 있는 듯하다.

문제는 현지 상황이 캄보디아 교민 사회에도 그대로 투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어렵게 얻은 민주주의를 어떻게 지켜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처럼, 캄보디아 교민 사회 역시 깊은 갈등과 분열 속에 빠져 있다.

현재 캄보디아 교민 사회는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한쪽은 현 상황에 별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 이른바 ‘친 조직폭력배’ 세력이다. 그들은 몇몇 사망 사건이 과장되었을 뿐이며, 언론이 침묵하면 문제될 것이 없다고 말한다. 반면 ‘반 조직폭력배’ 측은 범죄의 심각성을 체감하면서도 뚜렷한 움직임 없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들의 설명은 단순하다. “때를 기다리고 있다.”

분열의 중심에는 조직폭력배의 만연한 범죄 행위가 있다. 셋업 범죄, 마약 유통, 사기 등 교민 사회를 위협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더 충격적인 것은 ‘정의 구현’이라는 미명 아래, 한국에서 수배 중인 인물을 캄보디아 내 중국 조직에 팔아넘기는 일까지 벌어진다는 점이다. 교민 제보에 따르면, 이들은 캄보디아 경찰 내부에 심어둔 정보원을 통해 인터폴 수배 내역을 입수한 뒤, 이를 돈을 뜯어내거나 거래에 활용한다고 한다. 시하누크빌 등지에서 보도조차 되지 않은 채 사망한 수배자들이 바로 그 희생자라는 소문도 파다하다.

교민들의 사업체를 강제로 빼앗거나 소송으로 압박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심지어 한인 단체 내에 험악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자신들에게 유리한 인물을 단체장으로 앉히려는 시도까지 이어지고 있다. 저항하는 교민들에게는 각종 허위 사실을 퍼뜨려 압박하는 등 교묘하고 조직적인 방식으로 교민사회를 장악하려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반 조직폭력배’에 선 사람들은 아직 제대로 조직화되지 못했다. 문제는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왔지만, 해결은 쉽지 않다. 핵심은 ‘적절한 인물’의 부재다. 조직폭력배로부터 자유롭고,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갖추며, 그들의 공격을 견뎌낼 용기를 가진 인물을 찾기란 쉽지 않다. 조직폭력배가 집단적인 공격이나 불매 운동을 벌인다면, 과연 몇 명의 교민이 끝까지 버텨낼 수 있을까?

침묵하는 다수는 언제까지 방관만 할 것인가? 때가 되면 모습을 드러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민주주의가 투쟁으로 쟁취되었듯, 교민 사회의 건강한 질서도 침묵 속에서는 결코 세워질 수 없다. 방관은 곧 범죄 세력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과 다르지 않다.

다가오는 8월 말, 한인 단체장들은 ‘코리안데스크’ 추진 건을 논의하기 위해 대사관과 협의할 예정이다. 모처럼 교민 사회 스스로가 목소리를 내고 분명한 방향을 제시하려 한다니 반가운 일이다. 교민 사회가 원하는 방향을 명확히 보여줄 때, 대한민국 정부 역시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교민들의 요구와 의지가 없는 상태에서 일방적인 추진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서, 다른 나라의 민주주의를 논할 수는 없다. 교민사회의 건강한 미래는 바로 우리의 행동에 달려 있다.

역사가 가르쳐주는 사실은 단순하다. 침묵은 언제나 강자의 무기가 되었고, 방관은 정의를 약화시켰다. 지금의 불안한 흐름을 넘어 건강한 공동체로 나아가기 위해, 캄보디아 교민사회는 침묵을 깨고 행동해야 한다.

필자소개(김대윤)
캄보디아 화장품협회(CCA) 고문
캄보디아에서 왕립법률경제대학교 대학원(사법 전공) 졸업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