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온라인 스캠 여파,“교민사회 붕괴 위기”...누구의 책임인가? >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캄보디아 온라인 스캠 여파,“교민사회 붕괴 위기”...누구의 책임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7회 작성일 25-10-22 10:31

본문

캄보디아 온라인 스캠 여파,“교민사회 붕괴 위기”...누구의 책임인가?


씨엠립 겨울 성수기 예약 대부분 취소… 한인식당·기념품점 개점 휴업 상태
교민 인터뷰 왜곡 보도로 2차 피해… 일부 교민 “언론과 더 이상 인터뷰 안한다”
김병주 의원 “현장 확인 결과 교민 민생 파탄 우려, 정부 차원 실질적 지원 필요"

SNS 기사보내기
카카오톡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인쇄
 본문 글씨 줄이기
세계적인 관광지인 앙코르와트 전경 [박정연 재외기자]세계적인 관광지인 앙코르와트 전경 [박정연 재외기자]

캄보디아가 최근 온라인 스캠(사기) 범죄 사건으로 국내에서 범죄도시 이미지로 부각되면서, 현지 교민사회와 관광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특히 앙코르와트로 유명한 관광도시인 씨엠립 지역은 겨울 성수기를 앞두고 심각한 경제적 피해와 심리적 충격을 동시에 겪고 있다.

다가올 성수기 시즌을 앞두고 씨엠립과 국내를 연결하는 전세기 운항 계획은 노선별로 이미 취소되었거나 취소 검토중이라 사실상 관광객 유입 자체가 중단된 상태다.

국내 여행사에는 예약 취소 문의 전화가 빗발치고 있으며, 현지 여행사들도 예약 대부분이 취소돼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씨엠립 현지 여행사 대표 김장수 씨는 “대부분 예약이 취소됐고, 의료봉사팀이나 선교팀까지 일정 변경이나 취소를 통보했다”며 “현재로선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10여 개 한인식당들도 문을 닫을 처지”라고 밝혔다.

프놈펜의 한 여행사 관계자 역시 “다가올 겨울 성수기 예약 700건 이상이 취소됐다”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한인 식당들도 근심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프놈펜의 한 식당 사장은 “요즘은 매출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며 “반한(反韓) 감정 때문인지 현지 고객들의 주문이나 배달 건수도 눈에 띄게 줄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교민은 “앞으로가 더 문제”라며 “생계가 막막해 귀국까지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현지 한인식당들과 기념품점은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에 들어갔으며, 현지 직원 임금과 임대료 부담으로 교민사업자들의 고통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경제적 피해보다 더 큰 문제는 교민사회의 심리적 상처다. 일부 국내 언론들이 사건의 맥락을 배제한 채 클릭수와 시청률만 쫒아 과장·왜곡된 보도를 마구잡이로 내놓으면서, 교민사회는 2차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온라인 스캠 여파로 한산해진 교민식당 모습. 한인식당 사장은 최근 일기 시작한 반한 감정 탓인지 현지 고객들의 주문배달도 크게 줄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박정연 재외기자]온라인 스캠 여파로 한산해진 교민식당 모습. 한인식당 사장은 최근 일기 시작한 반한 감정 탓인지 현지 고객들의 주문배달도 크게 줄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박정연 재외기자]

교민들은 “국내 언론 보도를 보면 현지 상황이 훨씬 위험한 것처럼 묘사돼, 불필요한 공포와 편견 속에 살게 된다”며 상처를 토로했다.

왜곡 보도로 인해 본의 아니게 정신적 피해마저 입었다는 한 교민은 “더 이상 국내 언론과는 일체 인터뷰하지 않겠다”며 분노를 표출했다.

또 다른 교민은 “한국 가족이나 친지들로부터 안전을 걱정하는 전화를 받을 때마다 ‘전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반복해서 답변하는 것조차 이젠 큰 스트레스”라며 교민사회의 심리적 부담이 얼마나 큰지를 전했다.

재외국민안전대책단을 이끌고  캄보디아 현장 방문한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의원은 지난 16일 프놈펜 거주 한인들과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 “막상 와보니 교민사회는 안전한 편이고 과도하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교민들이 입게 될 민생 피해는 매우 심각해 보인다”며 “정부 차원의 실질적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교민사회 관계자 역시도 “지금 당장 겪는 경제적 피해도 크지만, 무엇보다 일부 국내언론들의 무책임한 왜곡 보도로 불필요한 불안이 조장되고 교민들마저 편견 속에 노출되는 것이 가장 큰 상처”라며 “정부와 언론이 현실에 맞는 올바른 정보와 뉴스를 제공하고, 실질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범죄를 넘어, 해외 교민사회가 국내 언론 보도와 국제 이미지에 얼마나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현지 교민들은 정부 차원의 피해 지원뿐 아니라, 정확한 사실 전달과 보호를 위한 정부와 언론의 책임 있는 대응을 간절히 요구하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