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 다카 공항 화물터미널 화재로 의류생산 최소 2개월 지연 >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방글라 다카 공항 화물터미널 화재로 의류생산 최소 2개월 지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7회 작성일 25-10-22 10:40

본문

원재료 다시 들여와야…제약업계는 원료 재수입에 7∼8개월 소요

이미지 확대화염에 휩싸인 다카 국제공항 화물터미널
화염에 휩싸인 다카 국제공항 화물터미널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유창엽 기자 =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의 국제공항 화물터미널에서 최근 발생한 대형 화재로 의류 원재료 등이 소실돼 의류 생산이 최소 2개월 지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1일 현지 일간 데일리스타에 따르면 지난 18일 하즈라트 샤잘랄 국제공항 화물터미널 화재로 의류 업계의 경우 지금까지 901개 업체의 피해 금액이 1천만달러(약 142억6천만원)로 집계됐다.

제약업체 32곳도 20억 타카(약 234억원)가량의 손실을 보았고, 의류 액세서리 업계의 손실도 이미 2억3천만 타카(약 26억9천만원)를 넘어섰다.

시간이 지날수록 업계별 피해 업체와 금액이 더 늘어날 수 있다.

전체 피해 금액은 10억 달러(약 1조4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의류업계는 공항 화물터미널에 있던 수입 원재료 및 중간재가 타버려 서방업체들로부터 받은 생산주문 납기를 맞출 수 없는 상황에 내몰려 있다.

특히 성탄절을 앞둔 시기는 방글라데시 의류 업체들로선 연중 가장 바쁜 시기 중 하나이다.

이 때문에 의류 업체들은 원재료 등을 높은 가격을 감수하면서 최대한 빨리 수입해 생산에 들어가야 하고, 납기를 못 맞춘 데 대한 보상 명목 할인도 추후 계약업체들에 해줘야 하기에 수익이 더욱 쪼그라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의류업계가 향후 보게 될 피해 금액이 원재료 등 소실에 따른 피해 금액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라는 추산도 나온다고 데일리스타는 전했다.

방글라데시 의류제조수출협회(BGMEA) 수석부회장인 이나물 하크 칸은 "전반적으로 볼 때 화재로 피해를 본 의류공장들은 공항 화물터미널에 있던 원재료 및 중간재 소실로 최소 2달 동안 생산을 늦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약업계도 의류업계와 비슷한 처지에 놓여 있다.

제약업계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당국의 승인 절차와 새로운 은행 대출을 거쳐 원재료를 다시 수입해야 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화재로 소실된 원재료와 같은 것을 재수입하려면 7∼8개월 걸릴 것이라고 밝혀 이 기간 만큼이나 생산이 늦춰질 수 있다.

의류 액세서리 업계도 소실된 원재료 재수입에 적어도 한 달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화재원인 수사에 착수한 당국은 방화나 사보타주(파괴공작)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yct9423@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