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재외동포현황 공개 > 재외동포 자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재외동포 자료

2023 재외동포현황 공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59회 작성일 23-10-24 10:40

본문

2023 재외동포현황 공개

담당부서 :
재외동포정책과
작성일 :
2023-10-19
  • (보도자료) 「2023 재외동포현황」.hwp

    한글파일다운로드
  • (보도자료) 「2023 재외동포현황」.pdf

    pdf파일다운로드
  • (붙임) 2023 재외동포현황.pdf

    pdf파일다운로드

「2023 재외동포현황」 공개

- 181개국에 약 700만 명 거주하며 2년 전 대비 3.3% 감소


□ 재외동포청은 2022년 말 기준으로 재외동포의 현황을 조사하여 집계한「2023 재외동포현황」을 10.19.(목)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였다.
※ 재외동포청은 매 홀수 년도에 재외공관을 통해 재외동포현황을 파악하고 있는데, 동 현황은 △인구센서스, 이민국 자료 등 공식 통계 △공관 직접 조사 △재외국민등록부 등 민원처리자료, △동포단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산출한 추산․ 추정치임.

 

□ 총 181개국에 7,081,510명의 재외동포가 체류하거나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는 2년 전인 2020년 말 기준 동포 규모(7,325,143명)와 비교할 때 3.3%(243,633명) 감소한 수치이다.

 

ㅇ 전체 재외동포 중 재외국민은 2,467,969명, 외국국적동포는 4,613,541명으로, 직전 통계 대비 각각 1.73%(43,552명), 4.15%(200,081명) 감소

 

* 거주자격별 현황

구분재외국민외국국적동포
영주권자일반체류자유학생
총계(명)1,023,0111,293,842151,1162,467,9694,613,541
증감(명)4,966-28,291-20,227-43,552-200,081
증감률(%)0.48-2.13-11.80-1.73-4.15

 

□ 지역별로는 재외동포의 90%가 분포한 동북아, 북미, 유럽 지역에서 재외동포의 수가 감소한 가운데, 코로나19, 경기침체 등의 요인으로 중국 내 재외동포 수가 크게 줄어 동북아 지역의 감소 폭이 –8.12%(257,442명)로 가장 컸다. 아울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유럽 지역 재외동포 수가 3.38%(22,907명) 줄어 그 다음으로 많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ㅇ 특히, 중국 지역의 동포 수가 직전 통계 대비 10.24%(240,695명) 감소한 것이 총 감소 수치에서 대다수 비중(98.8%) 차지

 

□ 반면, 그밖에 지역에서는 코로나19 상황 호전 등으로 재외동포 수가 회복되었는데, 남아태 지역의 경우 재외동포 수가 직전 통계 대비 6.35%(31,070명) 증가하였고, 중남미(13.80%, 12,462명), 아·중동(5.54%, 1,544명) 지역에서도 재외동포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현황

구분동북아남아태북미중남미유럽아중동

총계(명)

[백분율(%)]

2,911,842

(41.12)

520,490

(7.35)

2,862,781

(40.43)

102,751

(1.45)

654,249

(9.24)

29,394

(0.42)

증감(명)-257,44231,070-8,36012,462-22,9071,544
증감률(%)-8.126.35-0.2913.80-3.385.54

 

 

□ 우리 재외동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상위 10개국은 미국(2,615,419명), 중국(2,109,727명), 일본(802,118명), 캐나다(247,362명), 베트남(178,122명), 우즈베키스탄(174,490명), 호주(159,771명), 러시아(124,811명), 카자흐스탄(121,130명), 독일(49,683명)로 파악되었다.

※ 상위 10개국은 2년 전 조사 결과와 동일하나, 국가들 순위는 변동

 

ㅇ 지난 조사에서 8위였던 베트남의 재외동포 수가 13.93%(21,792명) 늘어, 이번 조사에서는 세 계단 상승한 5위를 기록했고, 러시아의 경우 43,715명 감소하여 6위에서 8위로 두 단계 하락

 

□ 「2023 재외동포현황」은 책자로 발간되어 주요 정부기관, 대학 및 연구기관, 공공도서관, 언론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우리 정부의 재외동포에 관한 정책 수립뿐 아니라 우리 국민들의 해외여행이나 기업의 해외 진출 시 기초자료로도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 2023 재외동포현황. 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